Lookin

처음인 곳, 것, 사람~

  • 2025. 4. 4.

    by. U1st?

    목차

      반응형

      ✈️ 왜 지금 '지방관광'인가?

      최근 한국 사회가 직면한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는 지역 소멸입니다. 특히 젊은 인구가 수도권에 몰리면서 지방의 경제 기반은 점점 약화되고 있죠. 이런 상황에서 지방관광은 단순한 여행을 넘어 지역 생존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외래관광객, 즉 해외에서 한국을 찾는 관광객이 있습니다.
      이들은 더 이상 서울, 부산, 제주에만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지역을 경험하고 싶어 합니다.
      이러한 관광생활인구(생활인구 중 관광을 목적으로 정기적으로 체류하는 사람)의 증가를 지역 소멸의 해법으로 접근하고자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데이버를 분석하여 관광 전략에 대한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이제 필요한 건 그 욕구를 충족시키는 전략적 접근입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외래관광객 유치 전략에 대하여 3가지 시각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방관광 살릴 해법은? 인구감소와 지역소멸 해결잭이기도

       

       

      📌 외래관광객 유치 전략 ①

      관광거점도시의 전략적 육성

      관광거점도시란, 외국인 관광객이 “한국을 여행한다면 반드시 가야 할 도시”로 브랜딩된 지역을 의미합니다.
      이 전략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지방의 브랜드 가치를 끌어올리는 데 효과적입니다.

       

      🔹 대표 사례:

      • 전주: 한옥마을, 전통음식 문화로 일본 관광객 유치 확대
      • 목포: 근대 역사문화 거리, 미식 투어를 활용한 타겟 마케팅
      • 경주: 전통 유적지와 '역사 관광' 연계로 동남아 대상 홍보

       

      🔑 추진 방향:

      • 핵심 인프라 정비 (교통, 숙소, 다국어 안내 등)
      • 지역 특화 콘텐츠 개발 (축제, 문화체험 등)
      • 민관협력 기반의 지속적 브랜드 관리

      이 방식은 제한된 예산으로도 지속가능한 외래관광객 흐름을 만들 수 있는 강력한 접근법입니다.

       

      📌 외래관광객 유치 전략 ②

      데이터 기반 관광정책 수립

      과거에는 ‘이 도시가 예쁘니까 홍보하자’는 감각적 판단이 주를 이뤘지만, 지금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시대입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다음과 같은 자료를 활용해 지방 관광 활성화 가능성을 분석했습니다:

      • 외래관광객 통계조사
      • 항공 O/D 데이터(출발-도착 분석)
      • KTX 승차권/관광지 매출 데이터

       

      🔎 핵심 인사이트:

      • 팬데믹 이후 외국인의 지방 방문 비율 증가
      • 지방에서의 1인당 체류 기간과 소비 금액이 오히려 높음
      • 국가별로 선호 지역 및 계절 패턴이 다름 (예: 일본인–전주, 동남아–강원도)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국가별 맞춤형 콘텐츠 개발, 시즌별 프로모션 기획, 교통 연계 개선 등 구체적 전략 수립이 가능해집니다.

       

      📌 외래관광객 유치 전략 ③

      글로벌 이벤트를 활용한 마케팅

      2025년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는 단순한 외교 행사가 아닙니다.
      이는 전 세계 언론과 영향력 있는 인물들이 한 도시를 주목하는 초대형 기회이자, 지방관광이 세계에 브랜드화될 수 있는 결정적 순간입니다.

       

      💡 이런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 인플루언서 초청 팸투어와 SNS 라이브 브이로그
      • 다국어 콘텐츠 제작 및 확산
      • 현지 상인과 연계한 로컬 마케팅 캠페인

      📌 실제 사례로, 2018 평창올림픽을 기점으로 강원도가 외국인 스키 관광지로 부상한 것은 대표적인 성공 케이스입니다.

      경주 역시 전통문화 + 글로벌 행사라는 두 축을 활용해, K-헤리티지 중심 도시로 브랜딩 할 수 있습니다.

       

      📈 종합 전략표

       

      전략명 핵심 내용 기대 효과
      관광거점도시 육성 핵심도시 선정 및 집중 투자 브랜드 가치 향상, 장기적 방문 유도
      데이터 기반 정책 이동 패턴·소비·관심사 분석 전략적 마케팅 가능, ROI 극대화
      글로벌 이벤트 연계 국제 행사와 관광 마케팅 결합 해외 인지도 상승, 글로벌 콘텐츠 확대

       

      ✅ 지방관광, 전략이 필요하다

      지방관광의 성공은 우연이 아닌 기획의 결과입니다.
      외래관광객이 자발적으로 찾고, 체류하고, 다시 찾게 만들기 위해선 단순한 콘텐츠가 아닌 정책+분석+브랜딩이라는 3박자가 갖춰져야 합니다.

      반응형